Project(5)
-
@Mapper 사용법
우리는 이전 교육 과정에서 DAO 계층에서 sqlSession을 주입받아서 DB에 접근을 하였다. 하지만, @Mapper를 통해 더욱 편리하게 DB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팀원들에게 공유하고자 글을 남긴다. 1. ItemMapper 생성 package hello.itemservice.repository.mybatis; import hello.itemservice.domain.Item; import hello.itemservice.repository.ItemSearchCond; import hello.itemservice.repository.ItemUpdateDto; import org.apache.ibatis.annotations.Mapper; import org.apache.ibatis.anno..
2023.11.27 -
EC2-MySQL-workbench 연동
팀원들에게 직접 알려줄 생각이므로 최대한 간결하게만 적어놓을 예정. 1. EC2 생성 ▶인스턴스 생성 인스턴스 생성시, 반드시 키 페어 생성해야된다. ▶해당 인스턴스의 보안탭에 들어가 인바운드 규칙 생성 '0.0.0.0/0'으로 설정한다. ▶탄력적 IP생성 후, 인스턴스와 연결 ▶Putty 접속 생성한 키 페어, IP 주소 입력을 통해 EC2에 접속한다. ▶ EC2내에 MySQL 설치할 때 참고로 한 블로글 글 https://velog.io/@jw_cho128/AWS-ubuntu%EC%97%90-Mysql-%EC%84%A4%EC%B9%98%ED%95%98%EA%B8%B0 2. MySQL workbench 연결 ▶Hostname, Username, Password 입력 각각에 대한 정보는 팀장인 나에게....
2023.11.23 -
OAuth2.0
카카오 소셜 로그인 기능을 해당 프로젝트에서 구현하려고 한다. 그 전에, OAuth2.0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자 팀원들에게해당 글을 남긴다. ✅ OAuth 2.0이란?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자신의 정보를 다른 웹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인증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신의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다른 서비스와 통합할 수 있다. ✅ OAuth 2.0의 4가지 주요 역할 1. 리소스 소유자: 리소스 소유자 또는 사용자. 보호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해 주는 주체. OAuth2 프로토콜 흐름에서 클라이언트를 인증(Authorize)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인증이 완료되면 권한 획득 자격(Authorization ..
2023.11.16 -
INT vs VARCHAR
프로젝트에서 클래스 다이어그램 작성 도중에 반려동물의 성별을 VARCHAR 타입으로 하여 'M' or 'W'으로 저장할 지, 아니면 INT 타입으로 하여 0 or 1로 저장할 지 고민이 되었다. 이에 INT 타입과 VARCHAR 중에 어떤 것이 우리 서비스에 맞을지 고민해보고자 글을 남긴다. 여러 블로그 및 레퍼런스를 찾아본 결과, 3가지 요소로 판단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 저장 공간 'INT'는 일반적으로 4byte를 사용하지만, 'varchar'는 저장된 문자열의 길이에 따라 다르다. 'gender' 컬럼의 경우, 'M' 과 'W' 한 문자만 저장한다면, varchar(1)는 1byte만 사용하므로 int보다 공간 효율이 더 좋을 수 있다. ✅ 쿼리 성능 int 타입은 문자..
2023.11.11 -
Rest API
사이드 프로젝트로 Rest API 설계 규칙을 따라서 URL를 작성할 예정이다. 이에 팀원들과 공유하고자 글을 남긴다. ▶️Rest란?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해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즉,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에 의한 상태 전달을 뜻한다.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 ▶️Rest 구성 요소 Method Post, Get, Put, Delete Resource URI : 모든 자원에는 고유한 ID가 존재하고, 이 자원은 Server에 존재한다. Client는 URI를 이용해 자원을 지정하고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에 대한 조작을 Server에 요청한다. 모든 것을 명사로 표현하고, 세부 Resource에는 id를..
2023.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