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Kubernetes(2)
-
2. 도커와 쿠버네티스 첫걸음
2.1 도커를 사용한 컨테이너 이미지 생성, 실행, 공유 백그라운드에 일어난 동작 이해하기 컨테이너 이미지 생성 도커에게 현재 디렉터리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kubia라고 부르는 이미지를 빌드하는 명령어이다. 도커는 디렉터리 내 Dockfile을 살펴보고 파일에 명시된 지시 사항에 근거해 이미지를 빌드한다. docker build -t kubia . 어떻게 이미지가 빌드되는지 이해하기 빌드 프로세스는 도커 클라이언트가 수행하지 않는다. 그 대신 디렉터리의 전체 콘텐츠가 도커 데몬에 업로드되고 그곳에서 이미지가 빌드된다. ❗️빌드 디렉터리에 불필요한 파일을 포함시키지 마라. 특히 원격 머신에 도커 데몬이 위치한 경우 이러한 파일이 빌드 프로세스의 속도 저하를 가져온다. 이미지 레이어에 관해 이해하기 이미지라..
2024.03.15 -
1. 쿠버네티스 소개
회사에서 쿠버네티스 스터디를 시작하여, 블로그에 내용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참고 도서는 'Kubernetes in Action'이다. 1.1 쿠버네티스와 같은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 거대한 모놀리스 애플리케이션을 작은 마이크로서비스로 세분화함과 동시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인프라의 변경으로 인한 것이다. 이런 변화를 이해하면 쿠버네티스와 도커와 같은 컨테이너 기술을 사용하는 것의 이점을 알 수 있다. 1.1.1 모놀리스 애플리케이션에서 마이크로서비스로 전환 모놀리스 애플리케이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성 요소간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상호의존성의 제약이 커지면서 전체 시스템의 복잡성이 커지게 된다.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시스템의 증가하는 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수직 확장을 하거나 수평 확장을 해야한다...
2024.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