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차

2023. 10. 27. 21:06Study/KB IT's your life 4기

2023. 08.25 수업 이슈

  • SpringMVC

 

작업 순서

DispatcherServlet으로 요청시 컨테이너 내부에서 요청 흐름

 

✔️ Spring ModelAndView 역할

1. request 바인딩

2. result.jsp 페이지로 forward된다.

 

Maven

Maven은 중앙 저장소를 통한 자동 의존성 관리를 중앙 저장소(아파치재단에서 운영 관리)는 라이브러리를 공유하는 파일 서버라고 볼 수 있고

 

버전에 비교적 자유롭다. 기본적인 것들을 다 넣어준다.

사이트에서 다운받아온다. 사용자 로컬 PC에 저장된다(사용자 → student → .m2 파일에 저장)

만약 중간에 다운로드가 실패해서 오류가나면 .m파일을 다 삭제한다. 그럼 서버는 다시 다운로드해서 .m2 파일에 저장한다.

 

POJO

JAVA의 기본 개념인 객체지향에 집중하고, 특정 클래스나 라이브러리에 종속되지 않는 POJO 구성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Spring은 POJO 방식을 기반으로 한 웹 프레임워크이고, IoC와 DI, AOP 등 Spring의 주요 기술을 활용해 POJO 기반의 구성을 이루게 되었다.

@Controller
public class FormController { //POJO 기반 : Play Old Java Object
	
}

 

 

 Context-Path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 = Tomcat에서 웹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구분하기 위한 Path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를 여러개 생성해도 톰캣(WAS)은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실행할 때 프로젝트들을 구분해 줄 필요성이 있다. 그럴 때를 대비해서 서로간의 프로젝트를 구분시켜 주는 Path를 톰캣(WAS)쪽에 설정해 놓는다. 

 

이클립스에 톰캣을 연동해놓으면 웹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JSP등)실행시, 자동으로 server.xml이란 파일에 추가해준다.


ECT

  • com.service.spring 에서 spring은 artifactID가 된다. 이것이 Context-Path로 잡힌다. 예를 들어, ‘주소:8080/spring’ 으로 접속 가능하다. spring이 패키지 이름으로 사용된다.

'Study > KB IT's your life 4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일차  (0) 2023.11.05
18일차  (0) 2023.10.28
16일차  (0) 2023.10.20
15일차  (0) 2023.10.19
14일차  (0) 2023.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