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차

2023. 10. 28. 17:25Study/KB IT's your life 4기

2023.08.28 수업 이슈

  • MyBatis Framework - Spring DI - SpringMVC 연결하기

 

구현 작업 순서

1️⃣ 테이블 생성

2️⃣ vo 생성 

 vo생성 시, 컬럼명과 필드명이 일치하는지 볼 것 → camel case아니면 mybatis 매핑시underbarCamelcase 사용 불가3️⃣ MyBatis(config file, mapper file 작성)

4️⃣ MyBatis JUnitTest(제일 중요)

5️⃣ DAO/DAOImpl, Service / ServiceImpl

sql id값이 template기능의 이름이다.

여기까지 같이 작업하고 흩어진다(Dispatcher Servlet에서 멈춘다) → 프론트부터 내려오면서 아구를 맞춘다

프론트는 피그마 같은 걸로 Mock디자인 설계

Spring DI까지 끝낼 것

 

MyBatis mapper 명 네이밍 방식

  1. table명 + Mapper
  2. ns.sql.ItemMapper → ns(namespace)

DB 설정 정보를 왜 Config file과 bean file에 둘 다 선언했을까?

  • 원래는 오른쪽 부분은 넣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MyBatis Unit Test때문에 넣어주었다.

서블릿 생성직후

  • ‘classpath:’를 쓰면 자동으로 컨테이너가 클래스 패스를 잡는다. 하지 않는다면 file path system(’/WEB-INT/~’을 으로 잡는다.
  • 서블릿 생성직후에 bean 설정 문서를 wiring한다(빈을 생성한다)

 

Architecture Layer = Presentation Layer + Business Logic Layer

  • businessLogicBean.xml 초기화 한 후, presentationBean.xml을 생성해야 한다.
  • 현업에서는 도메인별로 설정 문서를 모듈화해야한다. 하지만, 우리 코드에서는 프로젝트가 작아서 Layer별로 설정 문서를 모듈화한다.

'Study > KB IT's your life 4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일차  (0) 2023.11.07
19일차  (0) 2023.11.05
17일차  (0) 2023.10.27
16일차  (0) 2023.10.20
15일차  (0) 2023.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