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9)
-
[DB] JOIN
JOIN 이란?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 1️⃣ INNER JOIN 교집합으로, 기준 테이블과 JOIN 테이블의 중복된 값을 보여준다. 2️⃣ LEFT OUTER JOIN 기준 테이블값과 조인테이블과 중복된 값을 보여준다. 왼쪽 테이블 기준으로 JOIN을 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3️⃣ RIGHT OUTER JOIN LEFT OUTER JOIN과는 반대로 오른쪽 테이블 기준으로 JOIN하는 것이다. 4️⃣ FULL OUTER JOIN 합집합을 말한다. A와 B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가 검색된다. 5️⃣ CROSS JOIN 모든 경우의 수를 전부 표현해주는 방식 6️⃣ SELF JOIN 자기 자신과 자기 자신을 조인하는 것이다.
2023.10.27 -
[DB]Key
Key란 데이터 베이스에서 조건에 만족하는 튜플을 찾거나 순서대로 정렬할 때 기준이 되는 속성 1️⃣ Candidate Key(후보키) Tuple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성들의 부분 집합(기본키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 ✔️ 2가지 조건 만족 유일성: Key로 하나의 Tuple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음 최소성: 꼭 필요한 속성으로만 구성 2️⃣ Primary Key(기본키) 후보키 중 선택한 Main Key ✔️ 특징 Null값을 가질 수 없음 동일한 값이 중복될 수 없음 3️⃣ Alternate Key(대체키, 보조키) 후보키 중 기본키를 제외한 나머지 키 4️⃣ Super Key(슈퍼키) 유일성은 만족하지만, 최소성은 만족하지 못하는 키 5️⃣ Foreign Key(외래키) 다른 릴레..
2023.10.27 -
[Web] Http Status Code
클라우드 환경에서 Http API를 통해 통신하는 것이 대부분임 이때, 응답 상태 코드를 통해 성공/실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API 문서를 작성할 때 꼭 알아야 할 것이 HTTP status code이다. 1️⃣10X : 정보 확인 2️⃣ 20X : 통신 성공 상태코드 이름 의미 200 OK 요청 성공(GET) 201 Create 생성 성공(Post) 202 Accepted 요청 접수O, 리소스 처리X 204 No Contents 요청 성공O, 내용 없음 202코드는 주로 비동기 처리에서 사용되며,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으나 서버에서 즉시 처리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처리될 예정임을 알려줍니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알 수 있으나, 요청의 최종 결과에 대한 ..
2023.10.27 -
[Web] Http Request Methods
1️⃣ Get 리소스(데이터)를 받기 위함 URL(URI) 형식을 서버 측에 리소스를 요청한다. 페이지 이동할 때, 많이 쓰임 캐시가 가능하고 히스토리에 남으며, 길이제한이 있다. 2️⃣ Post 내용 및 파일 전송을 하기 위함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Form 데이터를 제출하기 위해 흔히 사용한다. Request 데이터를 Http Body에 담아 웹 서버로 전송한다. 캐시가 되지 않으며, 히스토리에 남지 않고 길이 제한이 없다. 3️⃣ Put 리소스(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함 Post와 유사하나, 기존 데이터를 갱신할 때 사용한다. 4️⃣ Patch 리소스(데이터)의 일부분만 갱신하기 위함 Put과 유사하나, 모든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이 아닌 리소스의 일부분만 수정할 때 쓰인다. 5️⃣ Delete 리소스(..
2023.10.27 -
AWS-10/26 강연
➡️ 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현대적 앱 구축 전략 Servletless-first 전략 데브옵스를 넘어 플랫폼 엔지니어링 생성형 ai 기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2023.10.26 -
16일차
2023.08.24 수업 이슈 MyBatis Layer별 단위테스트 MyBatis Framework와 Business Logic Layer 연결하기 ▶ MyBatis Framework와 Business Logic 연결 Service Layer은 데이터 처리를 위해 Persistent Layer와 나눴다고 볼 수 있다. Ect 객체 지향 설계의 5원칙 S.O.L.I.D [1] 좋은 소프트웨어는 무엇일까? 좋은 소프트웨어란 변화에 대응을 잘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갑자기 고객사에 기획에 없는 추가적인 요청을 하면 비록 욕 한사바리는 할지라도 결국 구현을 해야하는데, 이러한 변화에 큰 애로사항없이 잘 대응하기 위해선 소프트웨어 설계 근간이 좋아야 한다. 좋은 설계란 시스템에 새로운 요구사항이나 변경사..
2023.10.20